티스토리 뷰
목차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개통 예정 지역의 부동산 시장이 최근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개통 기대감으로 인해 한때 급등했던 집값이 왜 다시 떨어지고 있는지,
지역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GTX-A 노선 - 파주 운정
GTX-A 노선이 가장 먼저 개통되면서 파주 운정 지역의 부동산 시장이 주목받았습니다.
하지만 개통 이후에도 기대만큼의 상승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주요 이유:
- 서울까지 이동 시간이 단축되었지만, 역까지의 접근성이 부족한 단지가 많음
- GTX 개통 이후에도 기존의 교통망을 크게 보완하지 못해 실질적인 생활 편의성이 기대 이하
- 최근 금리 인상과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거래량 감소
실제로, 2024년 말 기준으로 파주 운정의 3.3㎡당 평균 거래가는 전년 대비 122만 원 하락한 1,393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2. GTX-B 노선 - 인천 송도
GTX-B 노선이 지나가는 인천 송도는 수도권 서남부 지역에서 기대감이 가장 높았던 곳 중 하나입니다.
착공이 지연되면서 집값 상승세가 주춤하고, 오히려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주요 이유:
- GTX-B 노선 착공이 지속적으로 지연되고 있음
- 송도 내에서도 GTX 역과 거리가 먼 단지는 가격 상승 폭이 크지 않음
- 원도심과 신도시 간 가격 차이가 심해 일부 단지는 가격 조정이 나타남
송도의 3.3㎡당 평균 거래가는 2,145만 원으로, 전년 대비 156만 원 하락했습니다.
3. GTX-B 노선 - 남양주
남양주 역시 GTX-B 노선의 영향을 받는 지역이지만, 이곳에서도 집값 하락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주요 이유:
- GTX-B 착공이 지연되면서 기대감이 줄어듦
- 서울과 가까운 구리, 하남 등 다른 지역과의 경쟁으로 인해 투자 수요 감소
- 대출 규제 및 금리 인상으로 인해 매수세 위축
이로 인해 남양주의 3.3㎡당 평균 거래가는 1,745만 원으로, 전년 대비 185만 원 하락했습니다.
4. GTX-C 노선 - 양주 덕정
양주 덕정은 GTX-C 노선의 주요 수혜 지역으로 꼽혔지만, 노선 착공이 계속해서 지연되면서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고 있습니다.
주요 이유:
- GTX-C 노선이 자금 조달 문제로 인해 착공이 지연됨
- 일부 단지는 GTX 수혜를 기대하고 가격이 너무 높게 형성됨
- 실수요보다는 투자 수요가 많아 조정 국면에서 가격이 크게 하락
현재 양주 덕정의 부동산 시장은 거래량이 줄고 가격도 조정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5. GTX-C 노선 - 수원
수원은 GTX-C 노선의 핵심 지역 중 하나로, 한때 큰 상승세를 보였던 곳입니다.
그러나 착공 지연과 대출 규제 등의 영향으로 최근 집값 하락세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주요 이유:
- GTX-C 노선의 사업 추진이 예상보다 지연됨
- 수원 내에서도 역세권과 비역세권 간 가격 차이가 심해지면서 일부 지역의 가격 조정 발생
- 부동산 시장 전반적인 위축으로 인해 거래량 감소
6. GTX-A 개통 후, 경기도 외곽 지역의 변화
GTX-A 노선이 개통된 후에도 기대만큼의 가격 상승이 나타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주요 이유:
- GTX 역이 있는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 간 가격 격차가 심함
- 배차 간격, 요금 문제 등으로 인해 실질적인 이용률이 낮음
- 수도권 부동산 시장 전반적인 침체로 인해 단기적인 상승 효과 미미
예를 들어, 파주시 동패동의 한 아파트(전용 84.22㎡)는 2024년 11월 4억 3천만 원에서 2025년 1월 3억 9,500만 원으로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마무리
GTX 개통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기대만큼 크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특히, 착공 지연과 경제적 요인, 생활 인프라 부족 등의 문제로 인해 가격 조정이 발생하고 있으며, GTX 개통만으로는 부동산 가격을 장기적으로 끌어올리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GTX 수혜 지역에 대한 투자나 실거주 계획이 있다면, 역세권 여부, 교통 편의성, 생활 인프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